
2025년 6월 대선을 앞두고 벌어지는 위험한 흐름
2025년 4월 4일, 대한민국 헌법재판소는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를 이유로 대통령직 박탈을 만장일치로 결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차기 대통령 선거는 오는 6월 3일로 확정되었고, 현재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이 가장 유력한 후보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단순한 정권 교체가 아닙니다. 미국 보수 논객 고든 창(Gordon Chang)은 최근 FOX 뉴스 기고문에서, 이재명이 대통령이 될 경우 한미 동맹이 무너질 가능성, 그리고 한국이 중국과 북한의 영향 아래 놓일 위험성을 강하게 경고했습니다.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선거 조작 의혹
고든 창과 여러 외신 전문가들은 최근 한국의 선거가 공정하지 않다는 우려를 제기해왔습니다. 2020년부터 이어진 총선과 대선에서 ‘통계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좁은 격차의 지역별 승리, 여론조사와 실제 결과 간의 괴리, 그리고 국정원과 보안 전문가들이 확인한 선거 시스템 취약점 등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2023년에는 국가정보원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시스템을 점검한 결과, 투표 조작, 개표 조작, 선거인 명부 변경 등이 가능한 심각한 보안 취약점을 발견했습니다. 게다가 북한의 해커 조직인 ‘라자루스 그룹’이 이미 선관위 시스템에 침투했다는 보도도 있습니다.

권력 장악을 노리는 정치 세력?
전직 미 해병 장교이자 한국 전문가인 그랜트 뉴스햄(Grant Newsham)은 “이번 대선은 더불어민주당이 대한민국 권력을 완전히 장악할 수 있는 마지막 퍼즐”이라며, “그들은 어떤 수단을 써서라도 정권을 잡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번 대선에서 99%, 어쩌면 100% 선거 조작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합니다. 헌법재판소의 결정 이후 선관위의 권한은 더욱 강화되었으며, 선거 공정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를 제도적으로 차단하려는 움직임도 포착되고 있습니다.
한국을 '제2의 베네수엘라'로 만들려는 흐름?
미국 보수 진영은 이번 선거가 단순한 국내 정치 문제가 아닌, 동북아 전체 안보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특히 삼성과 같은 글로벌 반도체 기업이 친중 정부의 압력 아래 기술 유출을 강요당할 경우, 세계 반도체 공급망 전체가 중국에 넘어갈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중국과 북한은 이미 수년 전부터 한국 내부의 친북 성향 정치인, 시민단체, 언론 등을 대상으로 은밀한 자금과 조직적 지원을 해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는 ‘통일’을 명분으로 한국 민주주의를 무력화시키려는 장기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됩니다.

우리는 이 위기를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현재의 흐름을 단순한 정권 교체나 보수-진보의 대립으로 보아서는 안 됩니다. 만약 대한민국이 외부 세력에 의해 민주주의를 잃게 된다면, 그 피해는 우리 국민 모두에게 돌아옵니다.
2025년 6월 대선은 단지 한 사람을 뽑는 선거가 아니라, 대한민국이 자유민주주의 국가로 남을 수 있을지를 결정짓는 중요한 기로에 서 있는 셈입니다.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경각심이 절실한 때입니다.
